입시뉴스2018. 3. 6. 17:29

안녕하세요.

입시정보를 한보따리 들고 다니는 도라애냥이에요.

작년에 몇 몇 심각한 학교폭력이 큰 이슈가 난 적이 있었는데요.

사전에 이런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

올해부터 초/중/고 일부 학교에서 학교폭력 예방수업을 실시하게 된다고 합니다.

관련 기사, 정리해서 공유드리게요 ^_^

 

 

 

 

[입시뉴스]

올해 초/중/고 일부 학교,

정규수업 때 학교폭력 예방교육 실시!

 

 

 

교육부에서 올해부터 초/중/고교 4곳 가운데 3개 학교에서

'2018 학교폭력 예방교육 추진계획'의 일환으로

정규 교육과정 중 학교폭력 예방수업을 실시하게 됩니다.

 

 

'2018 학교폭력 예방교육 추진계획'

→ 어울림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늘리고,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

 

 

■ 어울림 프로그램이란?

학생들이 연령과 수준에 따라 공감, 의사소통, 감정조절, 가지존중감,

학교폭력 인식/대처, 갈등해결 등 다양한 폭력 예방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교육부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기존에는 어울림프로그램의 구성을 기본과 심화로 나누었지만

앞으로 학교폭력에 노출될만한 학생들을 위하여 '심층 프로그램'까지 운영한다고 합니다.

 또한 어려움을 겪는 친구를 자율적으로 도울 수 있도록 '또래 활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상시적으로 학교폭력을 부터 학생들을 도울 수 있도록

사이버폭력 상담지원단을 운영한다고 하네요.

 

 

 

 

 

 

※원문뉴스 >> 연합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2&sid2=250&oid=001&aid=0009937369

 

Posted by 도라애냥
입시뉴스2018. 3. 1. 15:31

안녕하세요.

입시정보를 한보따리 들고 다니는 도라애냥이에요.

이달 초등학교 3학년이 되는 학생들부터

이전의 수업 방식과는 달리 학기마다 책 한권을 골라 읽고

토론하는 국어수업을 실시하게 되었는데요.

관련 정보를 정리해서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입시뉴스]

올해 초부터 '한 학기 한권 책 읽기' 실시

 

 

교육부는 이달부터 초등 3~4학년, 중1 그리고 고등1학년 교과서가

학생 참여를 강조한 새 교과서로 바뀌게 되었는데요.

 

그 중에서도 국어 교과서의 경우...

국어 시간에 책 한 권을 골라 읽고 그 과정에서 친구들과 토론 한 뒤,

그 결과를 정리해서 표현하는 활동이 실려있습니다. 

 

이러한 '한 학기, 한권 책 읽기'는 10년간 교과서에 등장할 예정인데요.

책은 학생들이 직접 정하거나, 학급 차원에서 정해지는 등

책 선정을 유동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며,

책을 읽고 친구들과 자신의 생각을 나누는 과정 자체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기에 시행한다고 합니다.

 

 

 

 

 

 

※원문뉴스 : 매일경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2&sid2=250&oid=009&aid=0004108138

 

Posted by 도라애냥
입시뉴스2018. 2. 26. 16:43

안녕하세요.

입시정보를 한보따리 들고 다니는 도라애냥이에요.

현재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수학 가형 출제 범위에서 '기하'를 뺀다는 의견에 대해

수학 관련 단체들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섰다고 합니다.

관련 뉴스기사 정리해서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입시뉴스]

능 이과 수학에서 '기하' 제외 논란 과열

 

 

교육부가 19일에 공청회를 통해,

2021학년도 수능 출제범위 개편방안에 대해

이과 수학 영역에서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개정 교육과정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기하와 벡터'를 뺀다는 의견을 제시했는데요.

 

 

이러한 의견에 이공계 대학생의 수학 기초 소양이 떨어질 우려가 크다며

수학 단체들의 반대 입장이 과열되고 있다고 합니다.

 

 

일본에선 이과 대입 시험에서 기하와 벡터 뿐만 아니라

국내 교육과정에서 아얘 제외되는 복소평면, 극좌표 등을 출제 범위로 포함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고교 심화 학습 과정인 AP 코스에서는 기하 과목 기반으로 출제되고 있는 등..

해외 학교에서도 이과 학생들에게 필수로 배우게 되는 기벡은

수능 수학 가형에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습니다.

 

 

 

 

 

 

 

※원문뉴스 >> 한국경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2&sid2=250&oid=015&aid=0003899077

 

 

Posted by 도라애냥
입시뉴스2018. 1. 30. 13:05

안녕하세요.

입시정보를 한보따리 들고 다니는 도라애냥이에요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이번 교육부...

그래서인지 이번에 교육부에서

여론을 수렴하기 위해 '국민 참여 정책 숙려제'가

올해부터 시행된다고 하네요.

관련 뉴스기사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_^

 

[입시뉴스]

교육부 '국민 참여 정책숙려책' 도입?!

 

 

 

교육부는 교육문화 혁신의 일환으로

국민 참여 정책 숙려제를 도입한다고 밝혔습니다.
파급력이 큰 정책들을 30일에서 6개월 가량

국민들의 의견을 듣고 의견 수렴정을 거친 후, 결정한다고 하는데요.

 

 

사실 교육부는 기존에도 각종 공청회 누리집 '온교육' 등을 통해서

정책 결정에 앞서서 여론을 수렴하는 절차를 밟긴 했는데요,

하지만 이러한 절차들이 대체로 형식적이고 의례적이라는

의견을 많이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국민참여 정책 숙려책에 대해

국민여론을 폭넓게 수렴한다는 애초의 취지와는 달리

이러한 정책 숙려책이 교육개혁 정책의 추진 원동력을

약화시킨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들리고 있습니다.

 

 

 

 

 

※원문뉴스 >> 한겨레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2&sid2=250&oid=028&aid=0002396666

 

Posted by 도라애냥
입시뉴스2018. 1. 25. 01:28

안녕하세요.

입시정보를 한보따리 들고 다니는 도라애냥이에요

2021학년도 대입 수능 개편안이 1년 유예되었다는 소식은 들으셧죠?

이번 유예 발표를 통해서,

어떻게 대입을 준비해야하는지에 대해 고민이 많으실텐데요.

이러한 고민들을 해소하실 수 있는 교육 포럼이

진행되었다고 해서, 관련 정보를 전달드립니다!

 

 

 

 

 

[입시뉴스]

대입제도 개편하기 위한 교육정책포럼 개최!

 

 

 

 

교육부는 공정한 대입 제도 개편 방안마련하기 위해

24일 오후 건국대에서 포럼을 개최하였다고 합니다.

'미래사회에서 필요한 인재 역량'을 주제로 발제하였으며

뒤이어 '미래 사회 변화에 대비한 대입제도 개편 방안'을 주제로

협의회에서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고 합니다.

 

모든 발제들은 포럼 종류 후에도 교육부 홈페이지 및 교육소통 플랫폼인

'온-교육'을 통해 공개된다고 하구요,

뒤이어 제 2차포럼 이후 제3차 대입정책포럼에서

'학생부전형 공정성 강화' 등을 주제로 학부모님들과

다양한 의견들을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고 합니다.

 

 

 

 

 

 

 

※원문 >> 데일리안 뉴스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2&sid2=250&oid=119&aid=0002235864

 

 

Posted by 도라애냥
입시뉴스2017. 12. 19. 19:35

안녕하세요.

입시 정보를 한보따리 들고 다니는 도라애냥이에요.

이웃님들은 영어가 절대평가가 되면서,

수학 과목이 매우 중요해졌다나 사실은 모두들 아실텐데요.

수학이 중요해진만큼... 수학을 실제로 공부하는

수험생들이 수학을 좋아하느냐를 다룬

흥미로운 뉴스기사가 있어, 관련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입시뉴스]

초, 중생 수학흥미도 ↑

반면 고등생은 감소!

 

 

 

(이미지 출처 >> 아시아 경제)

 

 

 

수학 흥미도 설문조사 결과

 

초등생 >> 70.80%

(초등학생 4~6학년 대상)

 

중등생 >> 62.20%

 

고등생 >> 51.64%

 

 

→ 보시다시피 대부분이 수학의  흥미를 느끼는 학생들이 늘었지만,

고학년이 될수록 수학 흥미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 초, 중등생은 수학 흥미도가 작년대비 오른 반면,

고등생은 오히려 떨어진 결과를 보이고 있음

 

 

→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부에서는 앞으로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재미있는 수학 교육'을 목표로

수학교육 발전을 위해서 계속 유용한 정책들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원문 뉴스 >> 아시아경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2&sid2=250&oid=277&aid=0004142915

Posted by 도라애냥